본문 바로가기

Linux5

Bash Shell과 변수 Shell의 변수 Shell의 변수란? 데이터를 넣는 그릇 선언할 필요없이 사용 가능 변수명 : 문자, 숫자, _(언더바)로 구성될 수 있지만, 시작은 반드시 문자나 _로 시작해야 한다. 변수 선언 : varname=value (띄어쓰기 할 시에 오류) $ fname=lee $ score=90 변수 확인 : echo, set $ echo $fname $ set (모든 변수명을 표시, 필요에 따라 grep을 사용해서 필터링) 변수 제거 : unset varname $ unset fname Shell의 환경 변수 Shell 환경 변수란? 동작 되는 프로그램에게 영향을 주는 변수 환경 변수 선언 : export varName=value (대문자로 표기하는 것이 관례) $ export NAME=lee $ ech.. 2021. 8. 31.
Linux Shell이란? Linux Shell 이란? Shell의 역할 사용자 명령어 해석기 사용자가 프롬프트에 입력한 명령을 해석해서 운영체제에게 전달 Shell의 종류 종류 의미 Bourne Shell(sh) - AT&T 벨 연구소의 스티븐 본(Stephen Bourne)이 개발한 Original Shell C Shell(csh, tcsh) - Bill Joy가 C언어의 기술을 넣어서 만든 Shell - C언어의 문법을 적용 - History, aliases, job control, vi command editing and completion 기능을 포함 Korn Shell(ksh) - David Korn이 AT&T에서 기존 bourne shell에 C Shell의 기능을 포함시켜 생성 Bourne-again Shell(ba.. 2021. 8. 30.
Linux 기본 명령어 살펴보기 Linux 기본 명령어 살펴보기 명령어 도움말 보기 : man 기본 형식 man 키워드 옵션 -k 메뉴얼 목록을 검색 -s [section-number] 입력한 섹션에서 메뉴얼 검색해서 출력 (1) User Commands (2) System Calls (3) Subroutines (4) Devices (5) File Formats space : next page enter : next line b : backward q : quit 사용 예 $ man ls $ man -k delete $ man -s userdel 파일 목록 보기 : ls 기본 형식 ls 옵션 -a dot(.)로 시작하는 숨겨진 파일까지 모두 -l 파일/디렉토리의 자세한 정보(type, permission 등) -R 하위 디렉토리까지 .. 2021. 8. 26.
Linux 디렉토리 살펴보기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사실 상 bin, lib, sbin 등 폴더는 존재하지 않는다. ls -l 명령어를 통해 확인해보면 bin -> usr/bin, sbin -> usr/sbin을 가르키고 있다. 명령어 디렉토리 이동 : cd 파일 목록 보기 : ls 현재 작업 디렉토리 보기 : pwd 디렉토리와 의미 디렉토리 의미 / 최상위 디렉토리 /bin(binary) 리눅스 기본 명령어(ls 등) /sbin(system binary) 리눅스 시스템 관리용 명령어(usermod 등) /usr 애플리케이션이나 유틸리티 설치 디렉토리 /etc 시스템 설정 파일(hostname 등) /var 빠르게 변하는 파일들이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/tmp 임시디렉토리 /proc 메모리에서 동작중인 프로세스 .. 2021. 8. 26.
Ubuntu vi 명령어 Ubuntu vi 명령어 입력모드 - i, a 왼쪽으로 이동 - h 아래로 이동 - j 위로 이동 - k 오른쪽으로 이동 - l 한 글자 삭제 - x 한 단어 삭제 - dw 한 줄 삭제 - dd n번째 줄 삭제 - ndd 현재 커서 위치부터 끝까지 - D 검색 - /(내용) 현재줄 복사하기 - yy n번째 줄 복사하기 - nyy 붙여넣기 - p 실행취소 - u 변경 사항을 저장하지 않고 종료 - :q! 저장 - :w 저장 후 종료 - :wq, :ZZ Reference https://mrkzet.tistory.com/23 2021. 7. 19.